첫 번째. 사람보다 냉정하다 — “표정 하나로 떨어졌어요”
AI는 사람과 달리 '공감 능력'이 없습니다. 사람 면접관은 지원자의 말투, 태도,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평가합니다. 그러나 AI는 표정 인식, 음성 높낮이, 발화 속도 등 정량적인 데이터만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웃지 않으면 ‘비협조적’, 시선을 자주 돌리면 ‘신뢰성 낮음’으로 감점 처리될 수 있습니다.
한 응시자는 면접 중 실수로 입꼬리를 올리지 않고 대답했다가 “부정적 성향으로 평가됐다”는 AI 결과 통보를 받았다고 합니다. 이는 단순한 표정 하나가 면접 결과를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람보다 훨씬 무정하고 냉정하게 느껴지는 이유입니다.
두 번째. 응시 환경이 곧 평가 요소가 된다
AI는 정형화된 환경에서 최적의 판단을 내리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면접처럼 장소나 상황에 따른 융통성이 없습니다.
조명이 어두우면 얼굴 인식에 문제가 생기고, 인터넷이 순간 끊기면 '답변 지연'으로 간주됩니다.
심지어 배경 소음이 많으면, 이를 '주의력 결핍'의 지표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환경적 요소는 응시자의 능력과 무관함에도 불구하고 평가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면접자는 스스로 모든 기술적 세팅을 완벽하게 준비해야 하는 부담을 떠안게 됩니다.
특히 조용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사회초년생이나 지방 거주자에겐 환경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세 번째. ‘정답’은 없는데 ‘틀림’은 있다
AI 면접에서는 모범 답안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사실상 AI가 학습한 데이터와 다른 형태의 답변은 ‘비표준’으로 처리되어 감점될 가능성이 큽니다.
즉, 창의적이거나 개인적인 경험을 강조한 답변이 오히려 패턴에서 벗어났다는 이유로 낮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이 때문에 응시자들은 자신답게 말하는 것이 아니라, ‘AI가 좋아할 만한 방식’으로 말하려고 노력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면접자 스스로 개성과 창의성을 감추게 되며, 모범생처럼 보이기 위한 연기만 하게 되는 부작용이 발생합니다.
한 대학생은 “답변이 진심이 아니더라도, 말투와 논리만 일정하게 유지하면 통과한다는 사실에 실망했다”고 전했습니다.
네 번째. 즉시 피드백 없음 = 불안의 극대화
사람 면접은 때때로 면접관의 고개 끄덕임, 미소, 질문 방식 등을 통해 자신의 답변이 잘 전달됐는지 비언어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AI 면접은 이러한 피드백 요소가 전혀 없기 때문에, 대화가 아닌 일방적인 시험처럼 느껴지는 구조입니다.
면접을 마친 후에도 AI가 어떻게 평가했는지, 어떤 기준으로 점수를 부여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받기 어려워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극도의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다가 탈락한 경우에도 구체적인 이유를 알려주지 않아, 자기 개선이 어려운 구조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불투명성은 특히 초보 구직자들에게 큰 좌절감을 주며, 다음 면접에 대한 심리적 부담까지 안기게 됩니다.
다섯 번째. 낯선 경험이 주는 압도감
대다수 사람들에게 면접은 긴장되는 순간입니다. 그런데 그 면접을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과 ‘카메라 앞에서 혼자’ 진행해야 한다면?
이런 상황은 많은 이들에게 전례 없는 고립감과 위화감을 줍니다.
AI 면접은 보통 익숙하지 않은 시스템에서 갑자기 시작되고, 안내도 생략되거나 간단한 지시만으로 바로 평가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면접자는 “긴장한 상태에서 갑자기 자기소개를 시작하라 해서 당황했고, 도중에 멈추거나 다시 설명해줄 사람도 없어서 무력감을 느꼈다”고 말합니다.
또한 중장년층이나 디지털 기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이 낯선 포맷이 기술적 장벽이자 정신적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결과적으로 면접에 앞서 ‘기계에 대한 두려움’부터 이겨내야 하는 이중의 부담을 안게 됩니다.
맺으며...
AI 면접이 ‘공정한 평가 도구’로 여겨지는 만큼, 효율성이나 표준화 측면에서는 장점이 분명합니다.
하지만 지원자 입장에서 느끼는 심리적 부담과 불안정성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요소입니다.
AI는 여전히 인간의 ‘맥락 읽기’와 ‘감정 공감’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따라서 AI 면접을 준비할 때는 기능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심리적 안정감 확보와 상황 대응 훈련이 필요합니다.
'교육 및 취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면접 후기2 (이런 점은 좋았다) (0) | 2025.07.13 |
---|---|
AI 면접 후기 모음 1 (진짜로 AI가 나를 평가한 걸까?) (0) | 2025.07.13 |
AI 면접 확산 속에서도 ‘사람 중심 채용’을 고수하는 기업들 (0) | 2025.07.09 |
2025년 취업준비생 1,000명 대상 AI 면접 인식조사 결과 분석 (1) | 2025.07.09 |
AI 면접 질문 유형 및 실제 시나리오에 관해... (0) | 2025.07.09 |